[현장연결] 이준석 "연습문제라는 표현, 불편하셨다면 죄송"<br /><br />국민의힘 의원들이 의원총회를 열어 이준석 대표 퇴진 공방을 주고받으며 온종일 시끄러운데요.<br /><br />이 대표가 방금 의총에 참석해 공개 발언을 한다고 합니다. 국회 가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이준석 / 국민의힘 대표]<br /><br />존경하는 우리 당의 의원님 여러분 이렇게 만나 뵙게 되어서 참 오랜만이고 반갑습니다.<br /><br />이 자리에 제가 서서 굳이 공개 발언을 요청하는 이유는 딱 한 가지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당내에 오랜 불신과 그리고 반목으로 인해서 만약 우리가 고생한 것이 있다면 그것을 오늘 털어내기 위한 자리로 저는 이것을 생각했습니다.<br /><br />그렇기 때문에 저는 이 발언이 가장 많은 분들에게 들리기를 바랐고 무엇보다도 가장 내용 그대로 전달되기를 바랐습니다.<br /><br />그만큼 오늘의 저희의 논의는 중요한 것이고 정권 창출을 바라는 정권교체를 바라는 많은 국민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제 개인적인 확신이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저는 제가 선거라는 것에 있어서 선거 중독자가 아닌가 싶어서 항상 무한한 감정이입을 합니다.<br /><br />2021년은 저 같은 선거중독자에게 매우 신나는 환경이었습니다.<br /><br />어느 누구도 예측하지 못했던 오세훈 서울시장의 경선 승리로 시작돼서 단일화 승리, 본선 승리 그리고 그 영광과 변화의 과정은 저에게 만 36세에 당대표가 되는 그런 영광을 안겨주었습니다.<br /><br />저는 그런데 그것이 제 개인의 노력보다도 우리 당원들과 또 우리 의원님들의 집합적인 판단의 결과라는 생각을 했습니다.<br /><br />우리 우리 당이 최종적으로 또 연이은 선거의 최종 도전과제인 대선 승리를 위해서 역사에 없는 선택을 한 것이라고 저는 알고 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저는 당선된 뒤부터 저와 함께 일을 하시는 모든 의원님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정권 창출에 도움이 되는 준비 과정을 진행해 왔습니다.<br /><br />초기에 저와 함께 일정을 했던 분들은 어떻게 매일매일 당대표가 지방을 다니고 하면서 당원을 모으고 하는 과정을 지속할 수 있겠냐며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습니다, 너무 일정이 빡빡해서.<br /><br />서범수 의원님 그때 병났습니다, 그때 저는 기억합니다.<br /><br />그 과정을 겪어서 경선에 돌입했습니다.<br /><br />이낙연 대 이재명이라는 빅매치라고 홍보하던 민주당에 비해서 우리 당의 경선은 훌륭하신 대선주자들이 조기에 입당하고 그리고 아주 공정하고 아주 치열한 경선을 통해서 훌륭한 후보자를 선출하는 것으로 잘 마무리되었습니다.<br /><br />그 경선의 과정이 국민들의 관심을 끌기 충분했고 그 경선을 통해서 국민들이 새로운 희망을 보았기 때문에 우리 당은 대통령 선거가 시작되는 시점에 여론조사에 따라 다르지만 10% 이상 되는 우위를 가지고 선거에 돌입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냉정하게도 저희의 오늘의 현실을 되짚어보면 저희는 10% 차로 뒤지는 여론조사를 곳곳에서 경험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것에 대해서 많은 사람이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<br /><br />당장 우리 윤석열 후보부터 당대표인 저까지, 그리고 각자의 위치에서 많은 노력을 하고 계시지만 그에 비해서 이런 안 좋은 결과가 나온다는 것에 대해서 우리 당의 책임 있는 당직자라면 누구나 자신의 문제처럼 안타까워해야 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그에 비해서 지난 한 달 우리의 하락세의 기간 동안 우리의 대처는 너무 소극적이었습니다.<br /><br />우리가 6개월 전까지 7개월 전까지 저희가 한 번도 당이 생긴 이래 겪어본 적이 없던 즐거운 비명을 지르던 저희의 모습이 더 이상 아닙니다.<br /><br />의원님들 한 분, 한 분마다 지역구 사무실에 본인이 모집하지도 않은 본인의 기초의원과 광역의원도 모집하지도 않은 젊은 당원들이 100명, 200명, 300명씩 쌓일 때 그것이 우리는 어떤 새로운 정치문화의 태동이라는 생각보다는 뭔가 우리의 앞으로 당연히 가지고 가야 하는 기득권인 것처럼 인식했던 것은 아닐까 저는 그걸 우리가 되짚어봐야 된다고 생각합니다.<br /><br />제가 언론에 나가서 했던 얘기 중에 세대결합론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.<br /><br />세대포위론이라는 얘기가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세대포위론이라는 것이 동작했던 것이 오세훈 서울시장이 처음이었고 이것이 동작하는 방식은 간단합니다.<br /><br />문재인 정부에 가장 실망한 그래서 정권교체 이론이 가장 높은 젊은 세대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을 우리 입으로 대신 이야기해 주고 정책을 만들 때 그들은 가장 강하게 호응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너무나도 즐거워서 코로나 시국이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는 의사소통하지 않더라도 가족마다 있는 단톡방에서 20대, 30대가 설득한 겁니다.<br /><br />50대, 60대 부모를.<br /><br />지금까지 우리 보수정당의 선거라고 하는 것은 부모세대가 자식세대를 설득하는 방식으로 여론의 전파가 이루어졌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지금 이 선거 코로나 국면에서 연말에 모임도 하지 못하고 여론 형성의 주 공간은 오히려 젊은 세대가 만들어놓은 공간 속에서 많은 자료들이 만들어지고 그것이 부모세대에게 전파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세훈 서울시장 선거에서 민주당의 말도 안 되는 생태탕 의혹을 막아냈던 것은 자신들의 선거라고 그걸 생각했기 때문에 열심히 자료를 찾아서 반박 자료를 만들고 인터넷상에 뿌리고 가족 단톡방에 그것을 뿌렸던 젊은 세대의 네거티브 대응이었습니다.<br /><br />우리가 지금 반성해야 될 지점 그리고 우리가 지금 선거에서 뼈아프게 느끼는 지점은 우리를 위해서 많은 자료를 만들어주고 방어해 주고 온라인상에서 여론전을 펼쳐주던 젊은 세대가 왜 일순간에 실망해서 오히려 가족 단톡방에서 우리를 저주하는 이야기를 부모에게 전파하고 있느냐 이 현실을 받아들여야 하는 겁니다.<br /><br />저희는 여당에 비해서 조직도 약합니다.<br /><br />이미 지방조직과 반면 단체를 상당수 장악한 민주당에 비해서 우리가 기댈 것이라고는 자발적인 젊은 세대의 참여의 문화입니다.<br /><br />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, 이번 선거에서 저는 당연히 서울시장 선거와 전당대회에서의 그 파도가 민주당을 집어삼킬 것이라 생각하고 그 파도를 타기 위한 체계적인 준비를 해 왔습니다.<br /><br />지난 서울시장 선거에서 위력을 발휘했던 유세차는 아예 이제 앱으로 준비되어가지고 국민 누구나 신청하는 사람이 유세차에 올라갈 수 있도록 설계를 해 놨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그것을 지금 저희가 오픈할 수 있을지...